1. 드라마 소개 및 제작 배경
데리걸스는 1990년대 북아일랜드 데리 시를 배경으로 한 영국 드라마입니다. 10대 소녀 에린과 그녀의 친구들이 겪는 성장 이야기를 유쾌하고 따뜻하게 그려냅니다.
리사 맥기 (스킨스, 닥터 후)가 제작을 맡았으며, 2018년 채널 4에서 첫 방영 후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2. 주요 인물 소개
- 에린 퀸 (시어셔 모니카 잭슨): 16살 소녀, 호기심 많고 반항적인 성격
- 클레어 (니콜라 코플런): 에린의 사촌, 똑똑하고 현실적인 성격
- 미셸 (재이미 리 오도넬): 에린의 친구, 패셔니스타
- 올라 (루이자 할랜드): 에린의 친구, 엉뚱하고 유쾌한 성격
- 제임스 (딜런 르웰린): 에린의 오빠, 문제아
3. 방영 정보
- 공개: 2018년 1월 8일 (채널 4)
- 시즌: 3시즌
- 총 에피소드: 16개
4. 전체적인 줄거리
데리걸스는 1990년대 북아일랜드 데리 시에서 10대 소녀 에린과 그녀의 친구들이 겪는 일상과 성장 이야기를 다룹니다. 에린은 영국군과 아일랜드 공화국군 간의 갈등 속에서 평범한 삶을 살아가려 노력합니다.
데리걸스는 10대들의 우정, 사랑, 가족과의 관계 등을 유쾌하고 감동적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북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을 배경으로 희망과 용기를 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5. 어느 OTT에서 볼 수 있는지
데리걸스는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6. 어떤 취향의 시청자에게 추천하는지
- 1990년대 시대극을 좋아하는 시청자
- 성장 드라마를 좋아하는 시청자
- 코미디 드라마를 좋아하는 시청자
- 아일랜드 문화에 관심 있는 시청자
- 유쾌하고 따뜻한 드라마를 찾는 시청자
7. 팬들이 알면 좋은 비하인드
- 데리걸스는 제작자 리사 맥기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드라마 속 에린의 가족은 리사 맥기의 가족을 모델로 했습니다.
- 데리걸스는 아일랜드 방언을 사용하여 더욱 사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8. 보고 난 후 소감
데리걸스는 1990년대 북아일랜드의 시대적 배경과 10대들의 성장 이야기를 유쾌하고 따뜻하게 표현한 드라마입니다. 에린과 그녀의 친구들의 우정, 사랑, 가족과의 관계는 시청자들에게 감동과 웃음을 선사합니다. 또한, 북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을 배경으로 희망과 용기를 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1990년대 시대극, 성장 드라마, 코미디 드라마를 좋아하는 모든 시청자들에게 추천하는 드라마입니다.
무엇보다 각각의 캐릭터들이 너무 귀엽고 매력있습니다. 엉뚱한 친구들의 유쾌하고, 어이없는 발상으로 하루하루 버라이어티한 나날들을 사랑스럽게 잘 그렸다고 생각합니다. 보면서 저도 저런 친구들이 있으면 좀 스트레스 받겠지만 정말 재밌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어이없게 터지는 웃음이 약간 예전 무한도전 볼 때 생각나는 시트콤입니다.
9. 드라마 배경이 되는 아일랜드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데리걸스는 1990년대 북아일랜드를 배경으로 합니다. 당시 북아일랜드는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의 분단 문제로 인해 정치적 갈등과 폭력이 지속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에린과 그녀의 친구들의 모습을 통해 북아일랜드 사람들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드라마 속에서 등장하는 주요 역사적 사건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1993년 벨파스트 협정: 영국과 아일랜드 공화국 간의 평화 협정.
- 1998년 성금요일 협정: 북아일랜드의 평화를 위한 공식적인 협정.
추가적으로 이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아일랜드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벨파스트 협정과 성금요일 협정>
1. 개요
벨파스트 협정과 성금요일 협정은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한 두 가지 중요한 협정입니다. 두 협정 모두 영국,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정치 정당들이 참여하여 체결되었습니다.
2. 벨파스트 협정 (1998년)
- 주요 내용:
- 북아일랜드의 권력 분배: 북아일랜드 의회와 행정부 설립, 권력 분배
- 영국과 아일랜드 간의 협력: 아일랜드 협의회 설립
- 무장 해체: 아일랜드 공화국군 (IRA)과 얼스터 자유민병대 (UVF) 등 무장단체의 무기 해체
- 인권 보호: 북아일랜드 인권위원회 설립
- 역사적 의의:
-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한 첫걸음
- 평화 프로세스 시작
3. 성금요일 협정 (1998년)
- 배경:
- 벨파스트 협정 이후 평화 프로세스 진행
- 협상 과정에서 발생한 어려움 해결
- 주요 내용:
- 벨파스트 협정 내용 확대 및 보완
- 북아일랜드 정치 체제 개선
- 시민 사회 참여 확대
- 역사적 의의:
- 벨파스트 협정을 더욱 강화
- 북아일랜드 평화 정착에 중요한 역할
4. 두 협정의 비교
체결 날짜 | 1998년 4월 10일 | 1998년 12월 10일 |
주요 내용 | 권력 분배, 영국-아일랜드 협력, 무장 해체, 인권 보호 | 벨파스트 협정 내용 확대 및 보완, 정치 체제 개선, 시민 사회 참여 확대 |
역사적 의의 |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한 첫걸음, 평화 프로세스 시작 | 벨파스트 협정 강화, 북아일랜드 평화 정착 |
5. 협정 이후
- 북아일랜드는 평화로운 시기를 누리고 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 종파 갈등, 경제적 불평등, 과거 청산 문제 등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입니다.
데리걸스는 1990년대 북아일랜드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드라마입니다. 또한, 분단과 갈등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감동과 용기를 선사합니다.